은유를 통해 자연의 생성과 운동 원리를 설명하려는 고대 그리스의 자연 철학을 21세기에 배워야하는 이유가 뭘까? 미적분이 제논의 모순을 논박하고, 양자역학이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을 대체하는 세상이라면 고대 자연 철학으로 자연 과학을 대체하려고 할 것이 아니라, 이 은유의 다른 원관념을 제시하는 통찰을 보여줘야하지 않을까.
블랙홀의 블랙홀이 통합장이라는 설명에는 한빠를 보는 것 같고, 있을 것이 있고 없을 것이 없는 것이 좋은 세상이라는 얘기를 반복하는 데에는 그저 세상 물정 모르는 샌님 같았다.
중간에 어거스틴의 수상록을 거쳐 플로티노스의 이야기로 갈 때는 솔깃했는데 여지 없이 3백여 페이지를 주야장장 같은 얘기를 반복한다. 플로티노스를 소개받은 것은 수확.
'리뷰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의 맛 (0) | 2018.01.18 |
---|---|
인포메이션 (0) | 2017.12.25 |
최순실과 예산 도둑들 (0) | 2017.07.09 |
몸의 일기 (0) | 2017.06.29 |
서울, 도시의 품격 (0) | 2017.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