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 11장 유명한 장. 음식에 대한 금기. 마빈 해리슨은 이 금기들이 이스라엘의 물적 토대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석하는데 돼지 외에는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한 가지 이론으로 다 설명할 수 있는 건 아니겠지? 이번에 읽으면서 가장 의아했던 것은 39절이다. "너희가 먹을 만한 짐승이 죽은 때에 그 ..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3.28
레위기 10장 아론의 아들들이 제사를 진행하다가 신의 진노를 사는 장면이다. 두 아들이 눈 앞에서 불길에 휩싸여 죽는 모습을 본 아론의 심정은 어땠을까? 모세는 거기다 대고 슬퍼하지도 말고, 뭣도 하지 말고 등등을 늘어놓는다. 아론이 이를 갈지 않았을까? 10장 하반절에 아론이 남은 아들들을 꾸..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3.28
레위기 9장 드디어 신과 인간 사이의 프로토콜이 완성되는 장면이다. 그간 갈고 닦았던 규례들을 마무리하자 신이 불길로 강림한다. 레위기를 읽다보면 모세가 고집스런 공자 같다는 생각이 든다. 공자는 그나마 예의 본질이 뭔지 알고 본질을 강조했는데, 모세의 규례는 그저 맹목처럼 보일 때가 ..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3.28
레위기 8장 8장은 그간 앞에서 가르쳐 준 각종 제사를 처음으로 시연하는 장면이다. 워낙 건조하게 써서 그때의 감격이 어땠을지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회막 문 앞에 백성을 모으고 모세가 여러 제사를 시범보이면서 아론과 그의 아들들을 제사장으로 삼는 모습은 꽤나 감격스러운 장면이었을 것 같..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3.12
레위기 7장 레위기 7장속건제, 속죄제, 화목제의 규례를 설명하고 있다. 제사가 여럿이지만 대부분 기승전제사장이다. 제사장이 제사를 수행한다는 것만이 아니라, 제사에 쓴 제물들의 처리도 도맡아 하고 있다. 제사장 계급의 경제 원천이다. 제정일치 사회에서 행정, 사법, 입법, 종교 계급인 이 집..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3.09
레위기 6장 레위기는 성경 읽기의 위기. 사회를 지탱하기 위해서 신의 이름으로 법이 선포되는 것은 이해가 가고, 그 법을 통해서 지키려는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일은 재밌다. 그러나 제사장 계급을 위한 여러 규례들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소재에 쓰고 남은 가루들을 제사장의 소득으로 ..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2.23
레위기 5장 레위기 5장은 속죄제, 속건제에 대한 글이다. 둘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설명하지 않는다. 속죄제 항목 첫번째가 흥미롭다. '남을 저주하는 죄'가 아니라 '남을 저주하는 것을 보고도 증언하지 않은 죄'를 다루고 있다. 다른 곳에서 이미 '남을 저주하는 죄'에 대한 기록이 있는 건지는 잘 ..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2.17
레위기 3-4장 인포디자인으로 성경을 정리한다면 가장 이득을 볼 수 있는 게 레위기인 것 같다. 3장은 화목제를 4장은 속죄제를 다룬다. 제물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죄를 범한 사람에 따라 제사 순서가 미묘하게 다른데 오늘은 자세히 구분하지 않았다. 나중에 또 볼 일이 있을까? 족장의 속죄제를 설..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2.16
출애굽기 37~38 37장 성궤와 성소를 그려보려다 포기. 왜 성경은 그림을 쓸 생각은 하지 못했을까? 그림을 그려줬더라면 후세 사람들이 더 잘 기억했을 것 같은데.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2.13
창세기 37~38장 요셉이 애굽에 팔려가는 이야기 사이에 뜬금없이 들어간 이 이야기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세라와 베레스가 뒤에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일까? 이 이야기 안에서 히라라는 사람도 눈길을 끈다. 처음에 별로 역할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이 사람은 유다가 죄를 저지르는데 인계철..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