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7장 민수기 27장. 성경에서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인상 깊은 장면 중 하나다. 모세가 죽기 전 하나님의 명령에 이끌려 산에 올라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약속한 땅을 바라보는 장면이다. 40년 동안 지도자의 역할을 했지만 결국 그 과실은 다른 사람에게 돌려야하는 상황을 묵묵히..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7.31
오자크 늘 비슷한 리뷰만 쓰고 있는 것은 아닌지, 회의가 들 때가 있다. 다른 포스터를 붙여도 상관없는 글들이지 않나. 휘발되는 감상의 껍데기만 붙잡은 박제가 아닌가. 이런 무력감을 느끼게 하는 건, 뜻밖에 거장의 작품이 아니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새 작품도 잔뜩 기대되고, 보고난 후에도.. 리뷰/드라마 2017.07.28
민수기 26장 민수기 26장. 한동안 일을 핑계로 성경을 읽지 못했다. 민수기라는 제목에 걸맞은 장이다.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에 다시 한 번 백성들의 수를 센다. 출애굽 직후인 민수기 1장과 비교해보면 40년 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인구는 늘지 않았다. 1장의 총인구는 60..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7.23
악녀 p.p1 {margin: 0.0px 0.0px 0.0px 0.0px; text-indent: 18.0px; font: 14.0px 'Nanum Myeongjo'} p.p2 {margin: 0.0px 0.0px 0.0px 0.0px; text-indent: 18.0px; font: 14.0px 'Nanum Myeongjo'; min-height: 16.0px} 그래, 칸에서 기립박수란 그냥 덕담 수준의 예의라는 걸 잊지 말았어야 했다. <리얼>을 피했으니 다행이라고 안도하지 말았어야 .. 리뷰/영화 2017.07.09
최순실과 예산 도둑들 p.p1 {margin: 0.0px 0.0px 0.0px 0.0px; text-indent: 18.0px; font: 14.0px 'Nanum Myeongjo'} p.p2 {margin: 0.0px 0.0px 0.0px 0.0px; text-indent: 18.0px; font: 14.0px 'Nanum Myeongjo'; min-height: 16.0px} 타이밍을 잘 못 맞추는 편이다. 천만에 하나 보태기 싫어 천만 영화 거르듯이 배알이 꼬여서인 경우도 있고, 세월호 관련 책들처럼 후.. 리뷰/책 2017.07.09
몸의 일기 독서는 점점 등산을 닮는다. 매일 숨 가쁘게 읽지만 좀처럼 진도는 나가지 않는다. 올해도 역시 한 주에 한 권 읽기는 물 건너가는 걸까? 상반기 마지막 책은 <몸의 일기>다. .책의 첫 장에 ‘이것은 허구가 아니라 일기’라며 한껏 꾸미고 있지만 구라다. 분명 소설이지만 읽는 내내 .. 리뷰/책 2017.06.29
민수기 25장 민수기 25장. 오랜만이다. 치과 진료 기다리는 중. 이스라엘의 영원한 적. 모압과 미디안과의 악연이 여기서 본격 시작이다. 아, 잠깐 앞에도 이미 있었나? 앞의 기록이 단순히 이방인들과 토착민의 영토 싸움 정도였다면 이제는 문화, 종교 싸움이 시작된다. 여기서는 완전히 이스라엘의 ..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6.27
민수기 23~24장 민수기 23, 24장. 발락이 무당 발람을 불러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하려다 오히려 저주를 당하는 장면이다. 믿음이란 무엇인가? 생각하게 된다. 무당인 발람은 물론이고 신이 저주의 효능을 믿었던 발락도 분명히 믿음이 있는 사람이다. 그랬기에 세 번에 걸쳐 다른 예언이 나오지 않을까 하..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6.20
녹터널 애니멀 19년 전 헤어진 전남편의 소설이 도착한다. 제목은 ‘야행성 동물.’ 전남편이 여자에게 붙인 별명이다. 여전히 불면에 시달리는 여자는 소설로 밤을 보낸다. 소설은 주인공이 괴한들에게 아내와 딸을 잃고 복수한다는 이야기다. 복수는 소심하다. 그리고 약해 빠졌다. 어쩌면 이렇게 전.. 리뷰/영화 2017.06.18
민수기 22장 민수기 22장. 그 유명한 여리고 성 함락 사건 직전인 것 같다. 이스라엘 백성이 여리고에 쳐들어가기 전에 모압 평지에서 진을 쳤을 때 얘기다. 겁을 먹은 모압 왕이 발람이라는 무당에게 이스라엘 백성을 저주해달라고 하지만, 발람은 여호와의 계시를 받고 이를 거부한다는 얘기다. 결국.. 일지/다시 읽는 성경 2017.06.11